2024년 11월 15일 : 김마리아
2023년 3월 1일 : 정정화
2024년 3월 1일 : 윤희순
  • 제목
  • 임시정부의 안주인, 수당 정정화
  • 내용
  • 대한의 여성들.
    이름 석자보다 누군가의 어머니, 누군가의 아내로만 알려진 숨은 독립운동가들.
    임시정부의 안주인이자 보이지 않는 버팀목이었던 수당 정정화 역시 그랬습니다.
     
    누구도 선뜻 나설 수 없던 일에 스무살 정정화는 맨몸으로 뛰어듭니다.
    조국을 위한 일념 하나로 목숨을 건 자금 조달 임무를 무사히 성공시키고, 국경을 넘나드는 수당의 계속된 활약은 임시정부의 새로운 동력이 됩니다.
    나라를 구하는 일에 남녀가 따로 있지 않았습니다.
    보이지 않는 희생으로 독립에 몸바친 수많은 조선의 딸, 조선의 어머니들…
    그들을 잊지 않고 꼭 기억하겠습니다.
  • Subject
  • The lady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Sudang Jeong, Jeong-Hwa
  • Contents
  • The women of Korea.
    The hidden independence activists were known more as someone’s mother or wife than their names.
    Jeong, Jeong-Hwa was a lady and a hidden prop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Twenty-year-old Jeong dived into a mission that no one else was willing to do.
    Risking her life for the sake of her country, she successfully completed the funding mission.
    Her continued work across the border brought new momentum to the Provisional Government.
     
    Saving the country was not a man’s job.
    Korea’s countless daughters and mothers gave their lives for independence with invisible sacrifices.
    We shall always remember their names and remember them.
  • 제목
  • 붓과 총으로 싸운 최초의 여성 의병장 윤희순
  • 내용
  • 3.1운동으로 대표되는 우리 민족의 독립 정신, 그 모태는 무엇일까요?
    바로 의병입니다.
    그 중에서도 19세기 말, 시대의 틀을 깨고 등장한 최초의 여성 의병장 윤희순을 주목해야 합니다.
    스스로를 ‘조선 선비의 아내’라 부른 그녀는 붓을 들어 일제에 경고하고, 의병가를 직접 지어 부르며 민중의 항일 의식을 불러 일으켰습니다.
    또한 안사람 의병단을 조직하여 총을 들고 전장에 뛰어들기도 했습니다.
    서간도로 망명 후에도 독립 운동 인재를 양성하고, 조선독립단을 조직해 싸우는 등 40년의 시간을 독립을 위해 바쳤습니다.
    윤희순을 시작으로 많은 여성독립운동가들이 등장해 활약했지만 독립운동사에서 여성의 존재는 그들의 헌신에 비해 아직 미약하기만 합니다.
    올해 105주년 3.1절을 맞아 여성독립운동가들을 기억하는 시간을 가져보면 어떨까요?
  • Subject
  • Yun Hui-sun, First Female Commander of a Civilian Militia
  • Contents
  • What epitomized Korea’s spirit of independence displayed so passionately at the March 1st Movement? The civilian militias known as ‘Righteous armies.’
    During the late 19th century, there was a figure that was unprecedented in her time: Yun Hui-sun, the first female commander of a righteous army.
    She used her brush to speak unflinchingly to Japanese forces and signed warnings with her name. Yun Hui-sun not only wrote battle songs, she actually armed herself and fought as well. Even after having to retreat out of the country, she educated activists and assembled independence corps. For 40 years, she devoted herself to the fight for independence.
    Many female freedom fighters followed in her wake, but the role and dedication of women in Korea’s history of independence is still not well known. This video is a tribute to these women and the hope that more light will be shone on them on this 105th anniversary of Korea’s March 1st Movement.
  • 제목
  • 조선의 혁명 여걸 김마리아
  • 내용
  • 기미년 3.1운동에 앞서 1919년 2월 8일, 일제의 심장부 도쿄에서 최초의 독립선언이 있었습니다. 재일 조선 유학생들이 독립 만세를 외친 그날의 현장에 청년 김마리아가 있었습니다. 일본 유학 생활 중에도 한복을 고집할 정도로 투철했던 민족의식이 독립운동으로 이어진 것입니다. 김마리아는 일제의 감시가 심한 남성을 대신해 자신이 직접 기모노를 입고 2.8독립선언서를 숨겨 반입에 성공했고 전국 각지에 배포했습니다. 이것이 기폭제가 되어 일어난 3.1운동은 여성들이 사회 전면에 등장하게 됐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김마리는 이후 여성 비밀결사인 대한민국 애국부인회를 조직해 국내외에 지부를 설치하고, 군자금을 모아 임시정부에 전달하는 등의 성과를 올렸습니다.
     
    그러나 동료의 배신으로 김마리아는 일제에 체포됐고 고문으로 인해 한 쪽 가슴을 잃어 평생 안섶과 겉섶의 길이가 다른 저고리를 입어야만 했습니다. 심각한 고문 후유증으로 대수술과 치료를 이어가던 중 그녀는 비밀리에 망명길에 올라 상해 임시정부에 합류했습니다.
     
    대한민국임시정부는 임시 헌장에 남녀 평등과 여성의 참정권을 명시하며 국민이 국가의 주인임을 선포했고, 김마리아는 임시의정원에서 최초의 여성의원으로 당선되며 여성으로서 위대한 발걸음을 내딛게 됩니다. 자주독립의 핵심은 교육에 있다고 생각한 김마리아는 미국 유학길에 오릅니다. 유학 중에도 여성 독립운동 단체 근화회의 회장을 맡고, 흥사단에서 활동하는 등 독립운동의 선봉에 섰습니다.
     
    불혹의 나이가 되어서야 조국의 품에 돌아온 김마리아는 일제의 창씨개명과 신사참배 강요를 거부하는 등 항거를 이어갔지만 평생을 괴롭혀온 고문의 후유증을 넘지 못하고 1944년 3월 13일, 한 줌의 재가 되어 잠들고 맙니다.
     
    그녀가 남기고 간 것은 낡은 수저 한 벌 뿐이었습니다. 당대 최고의 엘리트 신여성이었지만 탄탄대로의 삶을 포기하고 일생을 홀로 독립운동에 바친 김마리아.
    11월 17일 순국선열의 날을 맞아 김마리아의 애국정신을 다시 한번 되새겨 볼까요?
  • Subject
  • Kim Maria, the revolutionary woman from Korea
  • Contents
  • On February 8, 1919, the first Declaration of Independence was made in Tokyo, the heart of Japan, ahead of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Young Kim Maria was there that day when Korean students in Japan cheered "Long Live Korean Independence!"
    Her firm belief in her own national identity, which prompted her to wear a hanbok while studying in Japan, eventually inspired her participation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Instead of a man closely monitored by the Japanese authorities, she successfully brought the February 8 Declaration of Independence into Korea hidden in her kimono and spread it throughout the country.
    This served as a trigger for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which was significant because it brought women to the forefront of society.
    Kim Maria later organized a women's secret group, the Korean Patriotic Women's Association, and established branches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to raise military funds and transfer them to the provisional government.
    However, because of her colleague's betrayal, she was captured by the Japanese. She lost a breast due to torture, and as a result, had to wear a jeogori with mismatched inner and outer layers for the remainder of her life.
    While undergoing major surgery and treatment for the severe aftereffects of the torture, she secretly went into exile and joined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in Shanghai.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declared in its provisional charter that the people are the true owners of the state, emphasizing gender equality and the right to vote for women.
    Kim Maria was elected as the first female member of the Provisional Assembly, marking a significant milestone for women.
    Believing that education was crucial for achieving independence, she traveled to the United States to pursue her studies.
    During her time studying in another country, she played a key role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by acting as the president of the Women's Independence Movement Group, Geunhwahoe, and actively engaging in Heungsadan.
    Returning to her homeland at the age of forty, she persistently resisted by declining to take on a Japanese name and refusing the mandatory visits to the shrine.
    However, she was unable to overcome the lingering effects of the torture that had haunted her throughout her life. On March 13, 1944, she passed away, becoming a handful of ashes.
    All she left behind was an old spoon and a pair of chopsticks.
    Despite being the most prominent new woman of her era, she chose to sacrifice a bright future in order to fully commit herself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On November 17, the Day of the Patriotic Martyrs, let’s once again reflect on Kim Maria's spirit of patriotism.